문재인 친북정권의 청와대와 여당이 ‘문재인 정권의 대북 낙관주의는 고무적이지만, 그에 따른 행동에 관해서는 미국과 협의를 거쳐야 한다’고 주장한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에 대한 비난공세를 총력으로 전개하면서, 반미성향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문재인이 신년사에서 적극적인 대북 사업 추진 의사를 밝히자, 미국은 ‘비핵화와 보조를 맞춰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고, 17일 해리스 대사가 문재인 정권이 강행하려는 대북지원 사업에 대해 ‘미국과 협의해야 한다’며 제동을 걸자, 18일 문재인 정권과 여권이 ‘주권’까지 언급하면서 미국에 반감을 드러내고 있다.
문재인 정권의 대미 반발에 관해 청와대(관계자)는 17일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 대사가 주재국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서 언론에 공개적으로 언급한 부분은 대단히 부적절하다”며 “남북 협력에 관련한 부분은 우리 정부가 결정할 사안”이라고 반발했고, 이상민 통일부 대변인은 “대북 정책은 대한민국의 주권에 해당한다”고 했고, 설훈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내정간섭과 같은 발언은 동맹관계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했고, 송영길 의원은 “(모친이 일본인으로 미 해군 제독 출신인 해리스)대사가 무슨 조선 총독인가”라고 반발했다고 조선닷컴은 전했다.
촛불정권과 여당 지지층 네티즌들은 해리스 대사를 “쪽바리 혼혈인 군바리”라거나 “미국 국적 왜구”로 부르며 원색적으로 비난했다며, 조선닷컴은 16일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해리스 대사가 밝힌 “(문재인의 대북) 낙관주의는 고무적이지만 그에 따른 행동에 관해서는 미국과 협의를 거쳐야 한다”는 입장도 상기시켰다. 문재인이 신년사 등을 통해 미 정부에 ‘남북 도로·철도 연결, 비무장지대(DMZ) 평화지대화,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재개’ 등을 추진할 뜻을 전달하자, 백악관·국무부·재무부 등은 모두 ‘워킹그룹 회의를 거쳐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한다.
이런 미국의 입장을 ‘제재 위반 가능성을 검토하자’로 풀이한 조선닷컴은 “미국의 제동에도 정부는 독자적 대북 사업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며, 이날 북한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보이는 ‘북방경제협력위’를 향한 문재인의 “올해 다시 찾아오기 힘들 정도로 굉장히 좋은 계기를 맞은 만큼 신북방정책이 실질적인 성과를 내도록 최선을 다해 달라”는 주장을 전했다. 대북지원에 혈안이 된 문재인 정권의 고위 당국자는 사석에서 “워킹그룹 때문에 되는 일이 없다”며 “청와대가 생각하는 최대 패착이 워킹그룹을 만든 것”이라는 말도 했다고 조선닷컴은 전했다.
최근 문재인 정권의 대북지원 강행 의지에 대해 “미국과 협의해야 한다”며 제동을 건 해리스 대사에 대해 미국 국무부는 18일 여전히 “신뢰한다”는 입장을 내놔, 전날 “대단히 부적절하다”는 청와대의 입장과는 대립을 보였다고 한다. 모건 오테이거스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KBS의 ‘남북관계 개선을 통해 비핵화 협상을 견인하려는 한국 정부 구상’에 대한 질문에 “다른 국가의 주권을 존중하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과 폼페이오 국무장관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라며 “우리는 한국정부가 자국과 국민들을 위한 최상의 결정을 할 것이라고 본다”고 답했다고 조선닷컴이 전했다.
오테이거스 대변인은 “해리스 대사는 국무부의 큰 신뢰를 받고 있다. 우리는 북한과 관련된 문제를 지속해서 협력해 나가는 데 있어서 한국정부에 매우 감사하고 있다”며 ‘대북제재’에 관해 “상호 합의할 수 있는 결과에 이를 때까지 우리는 제재를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조선닷컴은 전했다. 그는 또 ‘미국의 방위비 분담금 요구가 너무 지나친 것 아니냐’는 물음에 “우리는 동맹국들이 기여하고 서로 분담하는 몫을 더 높여야 한다고 보고 있고, 또 합의에 이르러야 한다고 본다”고 했고, 호르무즈 해협 파병엔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한다. [허우 편집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