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美·中) 무역전쟁이 격화되면서 중국에 추가 관세가 부과되면, 중국의 경제 성장률이 급격히 하락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고 한다. 중국에 가해지는 압박에 관해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9일(현지 시각) 국제통화기금(IMF)은 중국 경제 연례 보고서를 통해 미국이 남은 중국산 수입품의 관세를 25%로 인상하면 중국의 성장률은 앞으로 1년간 수요 감소 등으로 인해 0.8%포인트 낮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며 조선닷컴은 10일 “미국은 이미 2500억달러의 중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상태”라고 전했다.
이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무역 협상에 별다른 진전이 없자 다음달부터 나머지 3000억달러의 제품에 대해서도 10%의 관세를 추가로 물리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한 조선닷컴은 “IMF는 예정대로 10%의 제재관세를 적용할 경우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0.3%포인트 떨어질 것으로 분석하며 이를 25%로 인상할 때는 ‘세계에 심각한 악영향을 파급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며 “조속히 미중간 통상 마찰을 해결해야 한다고도 촉구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매우 공세적으로 중국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선언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미 관세가 부과된 것 외에 추가 관세 부과가 없다는 가정 하에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6.2%로 예상했다”며, 조선닷컴은 “앞서 IMF는 지난달 내놓은 세계경제 전망에서 중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6.3%에서 0.1%포인트 내렸다”며 “IMF의 이번 전망은 트럼프 대통령의 10% 추가 관세 부과 방침과 중국에 대한 환율조작국 지정 결정이 나오기 전에 마무리된 것이어서 이들 상황이 모두 반영되진 못했다”고 전했다. 최근 미국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면서, 부정적인 중국의 경제적 통계를 폭로했다.
이와 함께 IMF는 ‘최근 위안화 환율이 심리 경계선인 1달러가 7위안대를 돌파하고 미국이 중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한 것’에 관해 “중국에 한층 유연하고 투명한 환율 정책을 취할 필요가 있다”고 대응책을 주문했다며, 조선닷컴은 IMF의 “관세 충격을 흡수하는 데 도움이 되려면 환율이 유연하고 시장 결정적이어야 한다”며 “위안화의 가치 하락 압력과 잠재적인 자본 유출은 무질서한 시장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외국환 개입 가능성을 요구할 수 있다”는 진단도 전했다. 미중 경제전에서 미국의 일방적 압박이 먹혀들고 있다.
중국 당국이 위안화 기준환율을 또 올렸다고 한다. 미국의 소리(VOA)는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오늘(9일) 오전 달러 대비 위안화 중간 환율을 전 거래일보다 0.14% 오른 7.0136위안으로 고시했다”며 “인민은행의 이 같은 조치는 지난 5일 달러당 7위안 돌파를 용인한 데 이어, 이번 주 들어 두 번째 평가절하”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위안화 가치는 지난 2008년 4월 3일 이후 가장 약세에 이르렀다”며, VOA는 “지난 5일 달러당 7위안을 넘어선 직후 미 재무부는 중국을 25년 만에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바 있다”고 전했다.
“인민은행이 오늘 다시 한번 고시 환율을 올린 것은 환율조작국 지정에 개의치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한 VOA는 9일 고시 환율 인상에 대한 인민은행의 “7이라는 수준은 넘어서면 돌아올 수 없는 나이 같은 게 아니라, 댐에 담긴 물의 높이와 비슷하다”며 “비가 많이 오는 시기에는 수위가 올라가고 건조기에는 내려간다”는 발표를 전했다. “달러 대비 환율이 높아지면 그만큼 해당 화폐의 가치가 낮아진다”며, VOA는 “따라서 외국에 물건을 내다 팔 때 가격이 떨어지게 돼 수출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중국 측의 ‘저 위안’ 조치가, 미국의 고율 관세로 인한 수출 가격 상승을 상쇄하려는 목적으로 보고 있다”며. VOA는 “9일 중국 정부는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선 통계를 발표했다”며 “중국 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7월 PPI는 작년 같은 달보다 0.3% 낮아졌다”고 전했다. “중국의 월별 PPI 상승률이 마이너스가 된 것은 2016년 8월 이후 처음”이라며, VOA는 “마이너스 PPI 상승은 지속적인 상품 서비스 가격 하락으로 경제활동 전반이 침체되는 ‘디플레이션’ 현상의 전조”로 풀이했다.
<IMF “美 보복 관세 이어지면 中 성장률 0.8%P 하락”>이라는 조선닷컴의 기사에 한 네티즌(bls****)은 “불과 얼마 전까지 친중좌파들은 중국이 승리한다더니, 이제 비로소 미국의 힘을 알게 된 듯”이라 했고, 다른 네티즌(ss****)은 “오만한 중국을 손볼 수 있는 나라는 미국 밖에 없다. 막강했던 소련도 미국과의 군비경쟁의 출혈을 견디지 못 하고 무너지고 말았다. 더욱 바짝 조아라”라고 했고, 또 다른 네티즌(ljsl****)은 “빨리 중공 분해, 소수민족 독립시켜 세계평화를 이룩해야 한다”라고 했다. [허우 기자]